" 네이버, 인슈어테크 플랫폼 설립 추진 "

2020. 6. 10. 13:33뉴스

* 이 글은 개인적인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오늘 알아본 뉴스 기사는 " 네이버, 인슈어 테크 플랫폼 설립 추진 "입니다.입니다.
 

< 출처 >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6091340034640101178

 

네이버, 인슈어테크 플랫폼 설립 추진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오늘은 뉴스 검색창에 데이터가 아닌 '테크'를 검색해 봤습니다.

다른 여러 기사들도 많았지만 그중에서 제눈에 들어온 기사는

" 네이버, 인슈어 테크 플랫폼 설립 추진 "이었습니다.

 

인슈어 테크란 '보험(Insuranc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보험산업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IT기술을 접목해

상품을 개발하고 계약 체결, 고객관리 등 

기존 보험 산업을 혁신하는 서비스를 지칭합니다.

<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38205&cid=43667&categoryId=43667

 

인슈어테크

보험(Insur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등의 정보기술(IT)을 활용해 기존 보험산업을 혁신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 외국어 표기 | InsureTech(영어) | 핀테크(금�

terms.naver.com

코로나 19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인슈어 테크가 활성화 되었다고 합니다.

 

예전의 보험산업은 영업사원의 대면영업을 통해 개개인을 설득하는 방식이었고,

인슈어테크 시대에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험을 고르고

가입하는 비대면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고객의 실시간 데이터에 바탕해 최적의 보험을 찾아주고

나아가 개인의 생체 데이터 변화에 따라 보험률 자체를 실시간 재산정해주는 

UBI 보험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데이터 3 법으로 인해 인슈어 테크와 원격진료가 당장 활성화되는데

각종 규제로 인해 당장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 출처 >

https://www.fnnews.com/news/202005251716264953

 

[fn논단] 데이터3법과 인슈어테크, 원격진료의 미래

올해 초 통과된 데이터3법을 통해 가명 처리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미래성장 엔진에 목말라 있는 상황에 반가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석유

www.fnnews.com

 이런 상황에서 네이버가 하반기 출시 목표로 인슈어 테크 플랫폼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합니다.

즉, 네이버의 IT, AI 기술로 비금융 데이터를 분석하고,

좀 더 정밀한 신용평가가 가능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인슈어 테크의 정의와 여러 가지 뉴스 기사에 대해 알아봤는데

이런 뉴스 들을 보니 정말 우리나라가 

현시점에서 크게 발전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한 이렇게 진행되면서 이때까지는 보험을 가입할 때 있어,

사람과 대화하고 사람을 통해 가입을 하니

이것을 나쁘게 역이용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렇게 시스템화가 되면 완벽한 틀에 감시될 것이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이러한 점들이 두려운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빨리 법안들이 개정되어 다른 분야들도 발전하길 기다리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